티스토리 블로그 최적화 하기(3/4) - 네이버 웹마스터도구 등록하기
- 블로그
- 2020. 3. 21.
앞선 두 포스팅에서는 구글 서치 콘솔에서 티스토리 블로그 글이 구글에서 노출이 되기 위한 최적화 작업을 진행했었다. 아직 두작업을 하지 않았다면 아래 링크로 먼저 하고 오는것을 권장한다.
티스토리 블로그 최적화 하기 - 구글 웹마스터 도구(1/4) : https://grizzleworks.tistory.com/4
티스토리 블로그 최적화 하기 - RSS 등록 및 활성화하기(2/4) : https://grizzleworks.tistory.com/5
3. 네이버 웹마스터 도구 등록하기
이번에는 네이버에서도 구글처럼 웹마스터 도구에 자신의 티스토리 블로그를 등록하는 법을 다뤄보도록 하겠다. 사실 대한민국에서는 아직 네이버라는 검색사이트가 유입률이 압도적으로 높기때문에 네이버로부터의 유입을 가져와야 한다. 구글과 다음을 합친 양보단 유입률이 많을듯 싶다. 네이버 웹마스터 도구로 등록하기 위해 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져 사이트로 이동해준다.
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져(웹마스터 도구) 바로가기 : https://searchadvisor.naver.com/
당연한말이겠지만 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져를 이용하기 위해선 네이버 아이디가 필요하다. 구글 서치 콘솔처럼 네이버 아이디로 로그인 해주자. 인터넷 익스플로러로 접속을 했다면 로그인이 안될 수 있으니 크롬을 사용하도록 한다. 로그인을 했다면 간단한 이용 동의를 거친후에 시작한다. 우즉 상단에 웹마스터 도구를 클릭한다.
웹마스터 도구에서 간단체크로 들어간다음 URL 입력창에 자신의 티스토리 블로그 주소를 입력하도록 한다. 돋보기 버튼을 누르면 자동등록 방지 보안절차에 문자를 입력하고 확인을 눌러준다.(입력문자 왜 이렇게 어려운거야!)
조회를 해보면 네이버가 티스토리 블로그에 접속하는데 문제가 없음을 확인해준다. robots.txt가 없는 이유는 아직 블로그에 만들어 올리지 않아서기 때문인데 포스팅 하단을 참고하기 바란다. 다른 사이트나 호스팅 되어있는 사이트를 조회하고 싶으면 입력해서 조회해보도록 한다. 다만 계정 1개당 1일 10회 한도로 가능하기 때문에 신중하게 조회하는것이 좋다.
다시 앞페이지에 사이트 관리 탭으로 이동하여 사이트 등록을 진행한다 URL 입력창에 자신의 티스토리 블로그 주소를 입력하고 보내기 버튼을 누르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온다. 구글서치콘솔(구글웹마스터)과 마찬가지로 네이버 웹마스터에서도 사이트 소유확인을 해야하는데 이전 포스팅처럼 구글서치콘솔을 진행했다면 네이버도 같은 형식으로 진행 하면 된다.
네이버에서도 HTML 메타태그를 내 티스토리 블로그에다 심어주면 된다. 아래 HTML 파일 업로드가 아니라 HTML 태그를 복사 해준다. 네이버에서는 복사버튼이 없으니 드래그해서 메타태그를 복사해준다.
<meta name="naver-site-verification" content="0ea487ccf38cd4832a7545829d70b7e5db35c746">
복사했다면 티스토리 블로그 관리자페이지로 이동해준다. 티스토리 블로그 관리자 페이지에서 꾸미기 - 스킨편집 - html 편집으로 이동해준다. 역시 html을 몰라도 아주 쉬우니 잘 따라하면 된다.
다음과 같이 html 편집기가 나오는데 아까 구글 사이트에서 복사 붙여넣기 한 메타태그가 보인다. 깔끔하게 보이기 위해 구글 메타태그 밑줄에 복사 붙여넣기 해준다. 꼭 이렇게 하지 않아도 <head> 섹션 내
<head>하위 태그 아무곳에나 넣어주면 된다.
입력을 다했다면 우측 상단에 보이는 적용버튼을 눌러 저장을 해주도록 한다. 붙여넣고 적용이 다 되었다면 다시 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져 사이트로 돌아와서 소유확인을 해주고 자동등록방지 보안절차가 있다면 역시 문자를 입력해 확인을 해준다.
정상적으로 태그 입력이 되었다면 소유확인 버튼을 눌렀을때 다음과 같은 축하메시지가 나타난다. 구글 보단 성의가 없어보인다.
확인을 누르면 다시 웹마스터도구 메인페이지가 나오고 나머지 설정도 추가적으로 해준다. 메인페이지에서 하단에 있는 자신의 사이트를 클릭하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온다. 왼쪽메뉴에 요청탭을 눌러 RSS제출을 눌러준다.
URL 입력창에 자신의 티스토리 블로그 주소를 입력해주고 뒤에 /RSS 를 추가 입력한 뒤 확인을 눌러 네이버에 RSS제출을 하도록 하자. 확인버튼을 누르고 밑에 등록된 RSS 피드 URL에 자신의 티스토리 블로그가 나오고 있다면 아주 잘한것이다.
다음으로 네이버 검색로봇인 Yeti가 내 블로그에 방문을 해서 크롤링해갈 블로그내의 범위를 정해주어야 된다. 사이트 관리에서 왼쪽 메뉴 검증-robots.txt 에 들어간다. 하단에 robots.txt 간단 생성란이 있는데 웹 페이지 정보를 '모든 검색로봇이' 모두 방문,수집하도록 허용하도록 설정해준다. 그다음 옆에있는 다운로드을 눌러 쉽게 찾을 수 있는 경로에 robots.txt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주고 기억하도록 한다.
이제 티스토리 관리자홈에서 스킨편집-html편집으로 들어간다. 위와 같은창이 나오면 파일업로드를 누르고 맨밑에 +추가를 눌러 아까 robots.txt를 저장했던 경로로 찾아가 파일을 추가시켜준다.
맨밑에 robots.txt가 올라간것을 확인했다면 위에 적용을 눌러준다. 경로는 블로그 구조에 따라 이름이 다를 수 있으니 참고하도록 한다. robots.txt를 자신의 티스토리 블로그에 탑재를 시켰다면 제대로 심어졌는지 확인하기 위해 다시 네이버 웹마스터 도구 페이지로 이동해준다.
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져(웹마스터 도구) 바로가기 : https://searchadvisor.naver.com/
사이트관리에 검증-웹 페이지 최적화로 이동한다. 웹페이지 최적화 검증에서 자신의 티스토리 블로그주소 뒤에 빈칸으로 놔두고 확인버튼을 눌러준다. 그러면 검색 로봇 수집결과를 볼 수 있는데 아까와는 다르게 robot.txt가 체크로 되어있는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로써 네이버 웹마스터 도구 대부분의 설정은 마친것이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구글과 네이버 사이트맵 제출을 하는법을 알아보겠다.
관련글
티스토리 블로그 최적화(1/4) - 구글 웹마스터 도구 등록
티스토리 블로그 최적화(2/4) - RSS 등록 및 활성화하기
티스토리 블로그 최적화(3/4) - 네이버 웹마스터도구 등록하기
티스토리 블로그 최적화(4/4) - 사이트맵 등록하기(구글, 네이버)
'블로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티스토리 블로그 접속 통계 확인하기 - 구글 애널리틱스 (2) | 2020.03.24 |
---|---|
티스토리 블로그 마우스 오른쪽 버튼 막기와 CCL 표시법 (0) | 2020.03.23 |
티스토리 블로그 최적화 하기(4/4) - 사이트맵 등록하기(구글, 네이버) (0) | 2020.03.22 |
티스토리 블로그 최적화 하기(2/4) - RSS 등록 및 활성화하기 (0) | 2020.03.20 |
티스토리 블로그 최적화 하기(1/4) - 구글 웹마스터 도구 (0) | 2020.03.19 |